
23
Mar나이 탓으로 참고 넘기기에는 너무 고통스러운 “오십견”
어깨 주위 조직 염증, 퇴행성 변화 등이 원인…당뇨환자에서 많이 발생정확한 진단 중요, 약물 및 물리 치료 등 보존적 치료와 수술로 치료 가능 [의학신문·일간보사=이상만 기자] 보통 50세 전후 연령에서 자주 발병한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오십견은 어깨관절과 주위 근육의 움직임이 제한을 받아 발생하는 질병으로 근육통 증상과 어깨를 앞뒤로 올리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정확한 질병 명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며 차갑게 얼어붙은 어깨라는 뜻으로 동결견(Frozen shoulder)이라고도 한다. 주로 갑작스런 운동이나 무리한 어깨 사용으로 어깨 주위 조직에 생긴 염증, 퇴행성 변화 등이 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30대에서부터 60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대에서 나타나고 있다.오십견이라고 불리는 질병은 정형외과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명은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혹은 “동결건”(frozen shoulder)이다. 견관절 관절막이 두꺼워지고 섬유화되면서, 관절막과 상완골의 유착을 유발하는 질병을 말한다. 정상적인 견관절 용적에 비해 감소하면서 운동 범위가 줄어들게 되며, 현재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하는데 단계마다 증상이 조금씩 다르다. 초기에는 간헐적인 통증만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다른 견관절 질환의 증상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이 시기에 관절 운동 범위가 정상이지만 야간 통증 및 외회전 시 통증 및 감소된다면 유착성 관절낭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유착성 관절낭염은 당뇨, 갑상선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의 전신적 질환을 진단 받은 경우, 견관절 수술 혹은 유방암 수술 받은 경우에서 견관절의 야간 통증, 운동 범위 제한(사진 참조)이 있을 경우 의심해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 정형외과 전문의 진료를 통해 진단 받길 권유한다.
